"책은 언제나 의도와 다르게 이해된다"
구입해서 본 일부 두꺼운 책들중 읽다 보면 책의 전체 내용에서 관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내용은 대부분 책의 앞부분에 중간 정도에는 주석에 불과하고 나머지 끝부분은 흐지부지 해버린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다. 마치 책이 얇으면 독자가 책의 내용보다는 두께에 값을 지불한다는 생각이 들면서, 한때 자동차 수리업을 했는데 작업자가 힘들어 보이는 육체적 수리를 크게 하면 소비자가 별 의구심없이 돈을 지불하는데 훨씬 지적인 머리가 요구되고 시간이 짧은 엔진튠업 부분에 고가의 수리비용을 머뭇거리는 소비자가 오버랩이 된다.
어쨋든,책의 서평과 무관하게 책의 두께와 가격에 대한 상관관계가 떠오르는 이유가 뭔지는 알 수 없지만 한권의 책속에서 겨우 몇줄의 내용만 머리속에 남는데 그나마 작가의 의도와 다르게 이해되여 해체된다는 서평에 오른손이 자연스레 올라간다.
서평이란게 작가나 책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더 많은 독자를 확보하기 위한 것인데 종종 서평을 읽다 보면 한권을 책을 다 읽은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 아이러니 하게도 더 이상 그 책에 관심이 가져지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폴드만(1919~1983)-프랑스에서 출현한 '해체주의 사상'을 영어로 번역해 미국에 퍼뜨림. <독서의 알레고리>는 해체에 관한 드만의 생각을 드만의 언어로 이해할수 있게 해준다.....독서란(Reading)란 말 그대로 '책을 읽는 행위'를 말하는바, 책 속의 기호(글자)를 매개로 삼아 저자가 말하는것을 실제 사태와 연결시키는 작업, 쉽게 말해 책을 일고 사태를 이해하는 것이 독서.' 독서의 알레고리'는 그 독서가 곧 '알레고리(Allegory)라는 말, 여기서 알레고리는'(어떤 것으로써) 다른것을 말하다'라는 어원적 의미.알레고리는 일종의 은유(메타포)라고 할수 있는데, 은유가 보통 단어나 문장 같은 작은 단위에서 구사되는 표현 기교라면, 알레고리는 통상 이야기 전체 하나의 총제적인 은유구실을 한다. 여기서 요점은 '다른 것을 이야기 한다'라는 알레고리의 그 본질에 있다. 우리의 통념으로 보면, 독서란 저자가 말하는것을 독자가 그대로 읽어 내는행위다. 그러나 실제의 독서는 저자가 말하는 것을 언제나 다르게 이해 한다는 것이 드만의 발상이다...여기에 이르면 드만의 '완결된 독서의 불가능성'이라는 테제가 말 그대로 해체적임을 실감할 수 있다...- 한겨레 서평중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