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July 07, 2012

기준을..

우리에 맞추어 보면 중세로 표현하기는 적당하지 않아 삼국시대가 아닌 그 이전부터 계급계층, 지배계층을 형성할 수 있는 시기부터  쌀을 생산을 하는 평야를 두고는 어떤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까?...책의 몇 페이지를 읽고 드는 생각이 곡창지대가 적고 왕들의 무덤이 많은 영남은 권력 유지를 위해 끊임없이 전투적이여만 했고, 반면 호남은 식량 생산기지로 조공에 의한 치외법권적 성격을 띠고 합법적인 보호를 받지 않았을까? 이러한 이유로 지정학적 측면에서 성곽은 평야 밖에 있어야만 했으며 변변한 왕의 무덤이 없는 이유가 여기 있고, 권력의 상관없이 오랜 평화를 유지 했다면  기질 또한 다르지 않겠는가? 라는...쓸모 있을꺼라는 생각이..

나쁜 습관이다.몇장의 책 내용으로 전체가 이런 내용일꺼라고 단정 짓는 습관은.. 역사란 존재하는 적은 자료로 판단하여야 하고 그 또한 진실여부를 파악하기 힘드니 논쟁은 필수라 하겠다. 1권은 그런이유로 예상보다 지루하고 읽히지 않은 전근대 역사에 관하여 2권은 근현대사의 다양한 문제로 다루어진 논쟁들을 모아 놓은 것이며 그리 멀지 않은 역사였기에 좀더 쉽고 새로운 인식으로 근현대사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권 또한 힘들게 읽고 보니 478 page 라는 (ㅡ.ㅡ:)....

'논쟁'은 '운동'이자 '흐름'이다. 자칫 고정불변의 주어진 실체로 인식될 수 있는 먼 과거의 역사상도 역사가들이 고민과 치열한 연구를 통해 그 생명을 얻고 다시 새로운 면모로 주목받곤 한다. 그리고 역사가들이 또 다른 시선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 받고, 부정되거나 재조명된다. '논쟁'을 통해 역사를 들여다 볼 때 과거는 입체적이 되고, 우리들 자신의 현실에 대한 노련한 조언자가 되어주기도 한다. 그리하여 역사는 흥미와 교훈을 두텁게 입는다.

- 본문중에서-

사대부에 대해서 언급된 내용 : 박지원 兩班傳 (양반전) - 讀書曰士, 從政爲大夫

Thursday, July 05, 2012

Wednesday, July 04, 2012

사랑하는..

딸 세빈과 아들 세현아.
쉰( 五十 )이란 의 나이를 몇개월 남겨둔 즈음에
그 동안 살아 오면서 너희들은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하나 하나 옮겨 볼려고 한다.

1. 다양한 책을 읽어라.

    많이 읽는것도 좋지만 다양하게 읽어서  균형잡힌 사람의 몸처럼 너희들 지식도 시너지 효과가 나도록 했으면 좋겠다.  무지에서 시작한 학습은 먼저 편견을 만들고 그 편견과 끊임없는 싸움으로 지식이 만들어 진단다. 홀로 내버려 둔 편견은 뱀이 똬리를 틀고 머리를 치켜 세워 사람들을 바라 보는것과 같아 다른 사람이 너에게 다가 오는것을 막는단다.
그러니 조심하거라 . 편견을.....책은 이런 부분에서 너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것이다.

   세상엔 너희들이 경험할 수 없는 일들이 너무 많으니 책으로 대신 한단다. 그리고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가 알고 경험한 범위내에서만 생각할 수 있고 행동 한단다. 지금 너희들이 하는 생각이나 행동이 남과 다르다면 생각해 보거라. 


2. 시간을 잘 분배하라.


    아빠는 살아오면서 인류에  유일하게 공평한건 시간이라고 생각한단다. 누구든 혼자만이 25시간이라고 규정지으면서 살수 없단다. 

Thursday, June 28, 2012

이 책의...


해설을 읽으면서
머리속에서 생각나는 한 문장...

"정반대도 모방이다"

파격적이다라고 하는것은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이미 존재하였기에 가능하다. - 이건 곰팽이 생각 -

책의 서두에 있는 해설에 시에 관한 대부분을 설명을 했건만 태반(太半)이 이해가 안되는건 모냠?...

시는 어렵다..
랭보 시선(視線)으로 본 시선(詩選)?...

Thursday, June 21, 2012

또다시...

눈을 뜨면 어제와 같은 해가 뜨고
같은 일을 시작하고 엇비슷한 대화로 하루가 마무리 지어지고
이 모든것들이 크게 변화하지 않을꺼 같은데 공기의 존재 처럼 항상 의식 되지는 않지만 우리 모두의 목적지가 점점 다가워짐을 인식할때 이제  몇줄의 글귀에 감흥을 받는일은 많지 않을꺼라 생각을 하지만 ....

"공황이 자본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다.

거품의 속임수에 넘어가 속절없이 비생산적인 일에 몰두했고 그 결과로 이미 파괴되어 버린 부분만큼이 공황을 통해서 드러났을 뿐이다."                        -John Stuart Mill (1806-1873)-

안읽어 본 책임

"나는 우리 미래에는 정치적, 사회적 혼란과 달러화 붕괴(기타 법정 화폐 붕괴), 초인플레이션(혹은 초디플레이션), 전면적 경제 붕괴 등으로 이어질 엄청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굳게 믿는다.
그러나 이런 위험은 확실성을 띠었다기보다 위험 발생의 개연성이 높다는 쪽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나는 병리학자 출신인 만큼 통계와 확률을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데 익숙하다. 
병리학은 흑백 논리가 통용되는 분야가 아니다. 하루에 담배 네 갑을 피우는 사람은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 그러나 이 사람이 특별히 어떤 질병에 걸려 사망한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암의 진행 정도를 ‘기’로 구분하지만 개별 사례에 따라 질병의 진행 상황이나 결과에 차이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래를 예측한다고 할 때 다음의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어떤 일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는 정도만 알 수 있을 뿐이고 그런 위험성이 보이면 미리 준비해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크리스 마틴슨(Chris Martenson)-

매번 들리는 카페에 눈에 띄는 글이였다. 양치기 소년과 늑대의 비유는 이미 존재하는 늑대에 대해 소년의 거짓말과 관계없이 다가올 위험에 대비했어야 했다는 내용과 글을 참 쉽게 잘 썻다라는 생각에 전날 저녁에 도저히 졸려서 못읽고 아침에 눈뜨자 마자 읽었던 글.

늦은 시간에...


샤워후 읽는
몇페이지의 내용속에서...

"소원해짐이 없으면 이해도 없다. 그것은 친숙함에 이르는 우회로이며, 화면과 배경을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하고 이해 되도록 하는 르푸스아르(Repoussoir)이다.- 플레스너 -

정신의 공화국 하이델 베르크 - 김덕영 지음 -

몇자의 서평을 적을려고 했는데 뜻하지 않게 친구 부친상(父親喪)으로 기차를 타고 시골에 다녀왔다. 오면서 차창 밖으로 보여지는 풍경과 책속의 사진으로 본 하이델 베르크의 모습들과 오버랩이 되었는데 아름다운 건물들은 제외하고라도 오래된 건축물을 볼 수 없다는게 참으로 이상했다. 전에도 같은 풍경이였거늘... 우린 무심하다. 기억의 한편에 자극이 없는한 방치되어 있을것인데 이책으로 어쩌면 새로운 자극 또한 편견으로 자리 잡을듯하다.

하이델 베르크라는 고대, 중세, 현대가 함께 존재하는 역사적인 공간을 통한 나눔의 미학을 시간이란 매체로 말하고 싶어 하는거 같다. 많은 내용중 내 생각은 그렇다는 말이다. 우리 주변엔 흔히 말하는 역사의 숨결을 느낄수 있는곳이 특정한곳 이외는 접하기 쉽지 않다. 과거를 가질 수 없는 지금 이곳 우리의 모습인거 같다.

반달리즘(영어: Vandalism, 프랑스어: Vandalisme) : 문화·예술 및 공공 시설을 파괴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경향을 말한다.

헬무트 플레스너(1892~1985) : 독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이며 철학적 인간학의 대표적인 이론가.

Friday, June 15, 2012

과음으로...

좋지 않는 속을 부여 잡고
아침에 일어나 자주가는 카페 글에서
새로운 내용의 경제 해결제시책을 읽었는데
리처드 쿡(Richard Cook)의 배당경제이다.
새롭네.....

리처드 쿡(Richard Cook) ― 미국인 저술가, 교육가, 통화문제 전문가. 30년 이상 식품의약청, 항공우주국, 재무부 등 미연방정부 기관에서 정책분석가로 일한 경험을 토대로 근년에 통화제도 개혁을 위한 저술 및 강연활동에 헌신해왔다. 이 방면의 대표적인 저서로 We Hold These Truths: The Hope of Menetary Reform(2008)이 있고,  비디오 강연의 제목은 The Solution to the Economic Crisis: Credit as a Public Utility이며, 현재 인터넷에서 공개되어 있다.

Friday, June 08, 2012

아..정말.

상상력의
부재는 둘째 치고라도
기억력마져 점점 감퇴해 가니...

차라리
기억마져 감퇴해져 간다는
그런 기억력마저 없으면 좋으련만....일헌 줸장...

Four Minutes..

밤늦게 다시보는  두번째 영화이다..
사실 내용이 기억나지 않아서 선택했다. 듬성 듬성 중간의
장면들을 보고 클라이막스인 마지막 4분은 끝까지 지켜
보았다.

두번째 봐서 그런가?.
영화가 주는 감동보다는 중간을 넘어서 쯤 시작만 했다가 고만둔  블로그를 다시해야 겠다고 마음 먹은 생각이 났다. 새롭게 블로깅을 하면서 최소한 내 생애 365편 정도의 글을 쓸수 있을거라면서. 헌데, 막상 써보니 이건..뭐. 10여편도 아니 그보다 훨씬 적은 편수도 쓸 내용이 없을 정도로 글의 소재가 없는거 같았다. 그러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글들을 모아 놓고 보니 지나간 일과 추억들 그리고 가끔은 내가 저런 생각도 했었나 하는 나름 신기하고 대견함이 또다른 글들이 쌓인 다음에도 시간이 흘러 같은 기분을 느낄수 있으리라는 기대로 그럭저럭 백여편을 넘겼다.

어쨌든, 이 이른 아침에 이글을 쓰는 이유가 블로깅을 할 소재가 너무 많다고 생각되여서 시작한건데 ..이유는 이 영화속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변하는 인간적 또는 비인간적인 행위에 따라 아마도 내 감성이 작용하여 가슴을 벅차게 하고 키보드에 손을 떼지 못하게 한, 결국 다시보는 영화이지만 영화가 준 감동때문에 그런거 아닌가?......

P.S) 피아노를 소재로한 영화가 지금의 Four Minutes, The Legend of 1900, The Pianist .
       모두  괜찮았던.... 이밤에 이러는것도 병이네...ㅡ.ㅡ      
이른 아침  5시 21분에....

Sunday, June 03, 2012

오늘...

대화를 하는 사람이
자주적이고 주체적이라는 생각을 했는데
주변에 그런 분들이 몇분 있는데  서로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고 대화하지 않나 싶다.
이런 이유가 나이가 들면서 차이를 극복 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인정하는 묵시적 동의를 함으로 분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듯 하다.
-  By 곰팽이 -

Tuesday, May 29, 2012

통념의 타나토스..

나이 들어 행복한 미소를 지으면서 살아가는 사람보다, 정의롭지 못한 세상과 고통때문에 인상쓰거나 행복해질 수 없는 사람들이 더 아름답다.                             - 저자 백충용 -

단지 타나토스라는 단어가 궁금해서 읽기 시작했던 책인데 대부분 끝은 흐지부지 하는데 이 책만큼은 끝까지 관심을 놓지 않고 보았다. 한번쯤 읽어 볼만 책이다.

타나토스 (그리스어: θάνατος – "죽음"이란 뜻)은 그리스 신화에서 죽음이 의인화된 신. 그의 라틴어 이름은 타나투스(Thanatus).

Tuesday, May 15, 2012

Felon....

웬만해선
책을 두번씩 보는 경우는 없다, 아니 읽다는 표현이 맞을꺼 같다. 최소한 나에겐..헌데 영화는 두번, 세번을 보는 경우가 여러 차례 있는데 주로 영어권 영화이다. 물론, 이유가 있다. 첫째는 빌어먹을 영어가 제대로 들리지 않을때 다시 듣기 위하여,두번째는 영화 자체가 주는 재미와 감동을 다시 느끼기 위해서다.

중범죄인을 뜻하는 Felon은 우선 평상시 들어 보지 못한 단어여서 사전을 찾아보고 내가 관심있게 보는 배우중 한사람인 Stephen Dorff 가 출연한 작품이여서 Running Time 내내  Felon이 만들어져가는 과정에 집중하여 잊을 수 없는 단어가 되었다.  하지만 배우들의 대사가 기억나지 않는(대부분 기억을 못하지만..ㅋ) 영화중 하나였다.
늦은밤 우연치 않게 영화폴더를 열고 선택한게 이 영화였는데 처음과는 다르게 명대사들이 귀에 들어왔다. 그 중에 하나가 Val Kilmer가 Stephen Dorff에게 싸우기 위해 운동장으로 가는 문을 열기전에 했던 말이다.


"단 하나의 행위로 인생이 정해 진다면 네가 시간의 개념을 바꾸어 놓는다".

● felon  [félən]표저, 중죄인, 중죄 범인
someone who has committed a crime or has been legally convicted of a crime    
  - 새벽 3시 56분 -

Wednesday, May 09, 2012

죽순 [竹筍]

출근길에 갑자기 아침식사때 먹은 죽순이 생각났다. 도대체 이 맛없는것을 누가 먹는단 말인가? 또한 영양가가 있어서 몸에 정말 좋은가 하는 의문이 들어서 곰곰히 생각해 보니 죽순이나 대나무 잎을 주식으로 하는 뚱뚱한(?) 팬더곰이 떠올랐다. 날씬한 팬더곰 본적이 있는가? 없다. 그걸로 봐서는 그런것만 먹고도 살이 찐거 보니 분명 영양가 있는 음식임이 틀림없다고  확신이 들었다. 하지만 아직도 남아 있다는 집사람 말이 귓가에 멤돌면서 멘붕이..ㅠ.ㅠ

일요일날 종종 가는 재래시장 끝 채소집에 다른걸 사다가 보기에 큼지막한 죽순을 그중에서 작은걸로 샀다. 집사람이 요리 하는걸 물어보니 껍질을 벗기고 연한 부분만 삶아서 초고추장이나  양념을 해서 먹는게 좋다고 해서 두가지 모두다 해서 먹었는데 원재료 맛도 양념맛(들깨)도 낯설은 애들은 전혀 먹지않고 사라고 부추긴 나만이 홀로...

죽순[Bamboo Sprout]- 대 뿌리에서 돋아나는 어린싹, 껍질에 싸여 있으며 요리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Thursday, May 03, 2012

경험(經驗)과 인식(認識)..



경험이란 인식의 범위내에서 존재해야 하고 그 자체만으로는 쓸수 없을것이며 또한 인식, 인식한다는 것은 무엇을 바탕으로 하느냐? 즉 경험인가, 그렇지 않는가에 따라서 나누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인식이 그렇게 간단하게 이분법적으로 표현되는게 무리일 수도 있지만 경험과 인식에 대한 철학적 이론(唯心論, 經驗論, 認識論)을 떠나서...


Wednesday, May 02, 2012

백편이 넘는 글에..

유일한 댓글이 달려서 클릭해 보니


아는 분이셨다.

같은 Blogspot 회원만 댓글을 달 수 있는 곳이라...

Tuesday, May 01, 2012

Notorious B.I.G

90년대 초반, 라이벌 투팍(2Pac)과 비프(beef)를 벌이며 이스트코스트와 웨스트코스트 힙합 씬 간 세력 싸움의 절정기를 이끌었던 노토리어스 B.I.G.(이하 ‘비기’)는 이 데뷔 앨범 한 장으로 ‘기대되는 신예’에서 단숨에 ‘동부를 대표하는 MC’로 우뚝 섰다. 그만큼 본작에서 그가 보여준 랩핑과 작사 스킬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주제로만 놓고 보자면, 비기가 다루는 내용들은 동시대 활약한 여느 하드코어 래퍼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빈민가에 대한 이야기, 마약 딜러로서 삶, 여자와 섹스, 갱스터리즘(gangsterism)과 자기 과시 등등…. 그러나 그가 (당시 흑인들과 래퍼들에게는) 평범한 이 주제를 랩으로 풀어놓는 순간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졌다.
자신의 직간접 경험을 바탕으로 한 비기의 가사들은 모두 빼어난 스토리텔링을 자랑했는데, 특히, “그의 랩을 듣고 있으면, 장면이 마치 눈 앞에 생생하게 펼쳐지는 듯하다”라는 미 평단의 말처럼 본작에 수록된 곡들이 연출하는 이미지의 향연과 내러티브는 혀를 내두를 정도다. 자신을 죽이고 돈을 뺏기 위해 집에 침입하려고 한 이들을 응징하는 과정을 범죄영화의 한 장면처럼 묘사한 ‘Warning’, 하루하루 고달프고 위험한 밑바닥 인생을 그린 ‘Everyday Struggle’ 등은 그 중에서도 백미다. 더욱 중요하고 놀라운 건 이렇게 주제가 이미지화되는 과정이다. 비기는 스토리텔링에 충실하면서도 굉장히 치밀하고 정교하게 라임(rhyme)을 짜고, 그것을 매우 탁월한 플로우로 내뱉는다. 그야말로 본작은 랩 자체가 가진 언어유희의 묘미(그것도 최고 레벨의)와 많은 하드코어 래퍼들이 이야기하고자 했던 주제를 가장 효과적이고 인상적으로 전해준 작품으로 손꼽힌다.

비기를 발굴한 퍼프 대디(지금의 Diddy)가 주도하고 디제이 프리미어(DJ Premier), 이지 모 비(Easy Mo Bee) 등이 조력한 프로덕션도 매우 훌륭하다. 당시 이스트코스트 힙합을 대표하는 전통적 작법이었던 붐 뱁(Boom Bap) 사운드를 고수하되, 본작의 대표적인 두 싱글 ‘Juicy’와 ‘Big Poppa’에서는 옛 소울/훵크 음악 중 달콤하고 말랑말랑한 곡들 – 엠튜메이(Mtume)의 ‘Juicy Fruit’, 아이즐리 브라더스(Isley Brothers)의 ‘Between the Sheet’ 등을 샘플링하여 대중적인 접점을 이루는 데에도 성공했다. 자칫 잘못하면, 열혈 힙합 팬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이 곡들이 힙합 역사 속의 명곡 반열에 올라있다는 사실은 (어디까지나 미국을 기준으로) 비교적 대중적인 트랙에 대한 일말의 비판마저도 상쇄시켜버리는 비기의 랩 실력이 얼마나 죽여줬는지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2012년 3월이면 비기가 세상을 떠난 지 15주년이 된다. 그리고 본작은 그가 생전에 발표한 유일한 앨범이다. 이 전설적인 앨범을 들어보면, 왜 여전히 전 세계의 수많은 힙합 팬이 노토리어스 B.I.G.에 대해 회자하고 그리워하는지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가히 1990년대를 대표하는 힙합 앨범이라 할 만하다.   <새벽출판사>      cafe.daum.net/dawnbook

강일권
대한민국 대표 흑인음악 미디어 리드머 편집장. 처음 음악에 미친 계기가 된 것도 흑인음악이었고, 현재 인생을 걸고 하는 일도 흑인음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흑인음악, 특히, '힙합 = 쉽게 만들 수 있는 음악, 고로 다른 장르보다 한 단계 낮은 음악'이라고 주장하는 모든 이에게 언제든지 강력한 지식의 펀치를 날릴 준비가 되어 있는 열혈 흑인음악 마니아다.

어제 과음으로 할 일이 있어 출근은 했으나 컨디션이 정상이 아니여서 오전일을 대충해치우고 점심먹으니 춘곤증으로 한숨자고 더이상은 안되겠단 생각으로 일을 접고 음악을 듣는중 랩(RAP)이 나오자  전에 본 영화가 생각나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니 이런 글이 있어 올려본다. 영화를 볼땐 많은 부분을 이해 하지 못했는데 해설을 보니 이해가 간다. 영화는 지금도 소장중..흐흐

Friday, April 27, 2012

언제나..

<곰팽이 찌금>

그러하듯이
겨울이 혹독하여도
또한 그렇지 아니하여도

 어김없이 찾아오고
계절이 바뀌어야 지나감을
알아차린 봄이

대지위에
가슴시린 푸른싹이
자연의 위대함을 말하고

따스한 햇볕이
나에게 스며들때
이런날이 많지 않음을
느끼는 이즈음 봄은

내려 놓을 수 없는
세월의 무게도
함께 온다.


아이들은 먼저 느끼고 자연의 섭리에 순응 하는
반대의 삶을 살았으면 좋을텐데 라는 생각이 드는 날에....                                 - By 곰팽이-

생각털기...

 결국 잠을 연장하지 못하고 평상시 보다 일찍 일어났다.
설레임으로 기다릴 조조영화(Battle Ship - 재미는 그닥, 삽입 메탈음악이 좋았던 영화)가 원인은 아닐진데 아마도  요며칠 일상화 되어버린 잠잘때의 뒤척임이 깊은  잠에 들지 못 하고 그 이유는 한가지 생각에 고정되어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금 하는 일이 거창한 일은 아니지만 다른 업체와 경쟁의 우위에 서야 그것도 차원이 다른 방식으로, 그러기에 집중이 필요했던 것이다. 

Monday, April 23, 2012

어김없이..

요 근래에 잠을 설치고 일찍 일어나면 손에 잡는게 i-PAD다.
이글 또한 아고라에서 가져온 글임을 밝히며 글을 읽고 나서 남에게 설명해주지는 못하지만 내 자신이 글 내용을 무리없이 소화해 낼 수 있다는데 적지 않은 시간을 경제관련에 관심을 두고 익혔음에 뿌듯하다.

      최효종의 멘트를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 부익부 빈익빈 현상에 대해서 명확하게 밝힌 마테효과와 파레토 법칙, 롱테일 경제학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전세계를 휩쓴 이후 빈부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습니다. 오죽하면 세상이 1%의 부자와 99%의 가난한 사람으로 나뉘었다는 말들이 전세계를 회자하겠습니까? 일개 개그맨의 말을 그냥 넘길 수 없을 정도로 심화된 부의 양극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테효과와 파레토의 법칙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우스 이론에 근거한 통계가 얼마나 부정확한지를 밝힌 『블랙스완』의 저자, 탈레브와 그가 극찬했던 프랙털 이론의 창시자 만델브로트, 『롱테일 경제학』의 저자인 크리스 앤더슨의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먼저 탈레브의 『블랙스완』을 보겠습니다.   “확률과 수학의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더라도, 현실 세계의 근소한 수리적 변화는 정규분포곡선으로 대표되는 완만한 무작위성으로 추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가증식하고 거친 무작위성으로 추정된다. 수식화될 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우스 정규분포곡선이 아니라 만델브로적인 것이다.”   금융위기를 예언해 유명세를 탄 『블랙스완』의 저자 탈레브는 가우스 정규분포곡선에 따라 통계를 작성하는 것이 얼마나 현실을 왜곡하는지 2008년 발 금융시장 대붕괴을 통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선형방식을 따르는 기존의 통계수치는 현실의 변수들을 모두 다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확인 편향의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필요한 쪽의 의견만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가우스 정규분포곡선(위가 홀쭉하고 밑이 넓은 종 모양의 곡선)에 의거한 통계자료에 매달린 주류 경제학자들은 2008년의 금융시장 대붕괴를 예측하지 못한 것이고, 부의 양극화에 대해서도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입니다.  

탈레브는 또한 부의 양극화를 설명하기 위해 이제는 상식이 되어버린 마태효과를 얘기했습니다.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이는 마태복음 13장 12절에 나오는 내용인데, 경제학적으로 말하면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될 것이며 가난한 자는 더욱 가난해질 것이라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에 대한 일종의 우화입니다.   낮고 가난한 이들과 함께 했던 예수의 말을 도용해 부의 양극화를 어쩔 수 없는 경제현상이라고 치부해 버린 주류 경제학자들의 뻔뻔함에 분노를 금치 못합니다.  

이번에는 부의 양극화를 최초로 밝혀낸 파레토의 법칙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였던 파레토는 빈부격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몇 세기에 걸쳐 국가들의 부와 소득에 대한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만델브로브는 『프랙털 이론과 금융시장』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했습니다.  “그는 한 축에는 소득 수준을, 그리고 다른 축에는 그 소득 기준을 가진 사람 수를 표시해 놓고 그래프용지 위에 데이터 차트를 그리자 거의 모든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동일한 그림이 그려졌다. 사회는 빈자 대비 부자의 비율이 한 계급에서 다른 계급으로 완만히 기울어지는 <사회적 피라미드>가 아니었다. 그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바닥은 매우 두껍고, 부자 엘리트들이 속해 있는 위는 매우 얇은 <사회적 화살>에 더 가까웠다.”   방대한 자료를 통해 파레토는 소득 분포가 가우스의 정규분포곡선(종형곡선)을 따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세상의 부의 대부분을 소수의 부자가 갖고 있다는 사실이 역사상 처음으로 공식화 된 것입니다. 그가 발견한 법칙에 따르면 억만장자가 억대의 돈을 버는 확률이 가난한 사람이 만원을 버는 확률보다 높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세상은 20 : 80 사회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 소득불평등이 더욱 커지면 1 : 99 사회도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 2008년 금융위기가 가져다 준 교훈이기도 합니다. 어쨌든 파레토에 의해 마태효과가 여지없이 증명된 것이지요.   

 이번에는 80대 20법칙을 넘어 새로운 경제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롱테일 경제학』의 도움을 받아 보시죠. 이 책의 저자 크리스 엔더슨은 미국의 속담을 인용하며 “만일 단 몇 명만 부자가 될 수 있다면 그들을 갑부가 되게 하라”고 말했습니다. 단 몇 명이 갑부가 된다한들 전세계의 부를 모두 독식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주류 경제 시장의 규모보다 그것에서 잘려나간 꼬리 시장의 규모가 더 커지면 부의 양극화도 줄어들 것이라는 주장이 이 책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소수에게 소득이 집중되는 부의 양극화는 『롱테일 경제학』의 주장도 무효로 만들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부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중산층의 수는 계속해서 줄고 있고 하층민과 극빈층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인간 수명의 연장은 종의 차원에서는 축복일지 모르지만 정치경제적인 면에서는 최악의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고령화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척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한 개그맨의 얘기조차 우스게 소리로 치부하고 넘어갈 수 없는 상황에 이른 것이지요.  

고령화 추세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출산율이 세계에서 최저로 떨어진 대한민국에서는 2030세대 사이에서 삼포세대라는 말이 유행하게 됐겠습니까?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보면 중산층이 무너져 하층민으로 전락하고, 하층민은 극빈층으로 떨어진 2008년 이후에는 부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빨라지고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제국인 다보스 포럼에서 전세계 경제를 주무르고 있는 초국적 기업의 총수들이 공공연히 자본주의 실패를 얘기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개그는 개그일 뿐, 오해하지 맙시다”라는 개그 콘서트의 캐치프레이즈가 무색해진 이 밤에 답답한 마음으로 더욱 답답한 글을 올립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히로인인 비비안리는 “내일에는 내일의 태양이 떠오를 것이다”라고 말했지만, 부의 양극화가 우리의 숨통을 조여 오는 오늘에는 내일의 태양이 떠오를 것이라는 만고불변의 진리도 믿기 어려울 판입니다. 그래서 고인이 된 김근태 의원의 마지막 말이 시대의 정신인 것입니다.

 “2012년을 점령하라!”

 늙은도령

Saturday, April 14, 2012

프랑스( Baccalauréat ) ..

고졸자격 시험문제.
========================================================

1장 인간(Human)

1-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2-  꿈은 필요한가?
3-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4-  지금의 나는 내 과거의 총합인가?
5-  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가?
6-  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7-  행복은 단지 한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것인가?
8-  타인을 존경한다는 것은 일체의 열정을 배제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9-  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가는가?
10-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나?
11-행복은 인간에게 도달 불가능한 것인가?

2장 인문학(Humanities)

1-  우리가 하고 있는 말에는 우리 자신이 의식하고있는 것만이 담기는가?
2-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3-  철학자는 과학자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4-  역사가는 객관적일 수 있는가?
5  -역사학자가 기억력만 의존해도 좋은가?
6-  역사는 인간에게 오는 것인가 아니면 인간에 의해 오는 것인가?
7-  감각을 믿을 수 있는가?
8-  재화만이 교환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9-  인문학은 인간을 예견 가능한 존재로 파악하는가?
10-인류가 한 가지 언어만을 말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3장 예술(Arts)

1-  예술 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
2-  예술없이 아름다움에 대하여 말할 수 있는가?
3-  예술 작품의 복재는 그 작품에 해를 끼치는 일인가?
4-  예술 작품은 모두 인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가?
5-  예술이 인간과 현실과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

4장 과학(Sciences)

1-  생물학적 지식은 일체의 유기체를 기계로만 여기기를 요구하는가?
2-  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3-  계산, 그것은 사유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4-  무의식에 대한 과학은 가능한가?
5-  오류는 진리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6-  이론의 가치는 실제적 효용가치에 따라 가늠되는가?
7-  과학의 용도는 어디에 있는가?
8-  현실이 수학적 법칙에 따른다고 할 수 있는가?
9-  기술이 인간조건을 바꿀 수 있는가?
10-지식은 종교적인 것이든 비종교적인 것이든 일체의 믿음을 배제하는가?
11-자연을 모델로 삼는 것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가?

5장 정치와 권리(Politics&Rights)

1-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2-  자유는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인가?
3-  법에 복종하지 않는 행동도 이성적인 행동일 수 있을까?
4-  여론이 정권을 이끌 수 있는가?
5-  의무를 다하지 않고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6-  노동은 욕구 충족의 수단에 불구한가?
7-  정의의 요구와 자유의 요구는 구별될 수 있는가?
8-  노동은 도덕적 가치를 지니는가?
9-  자유를 두려워해야 하나?
10-유토피아는 한낱 꿈일 뿐인가?
11-국가는 개인의 적인가?
12-어디에서 정신의 자유를 알아차릴 수 있나?
13-권력 남용은 불가피한 것인가?
14-다름은 곧 불평등을 의미하는 것인가?
15-노동은 종속적일 따름인가?
16-평화와 불의가 함께 갈 수 있나?

6장 윤리(Ethics)

1-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반드시 자신의 욕망과 싸운다는 것을 뜻하는가 ?
2-  우리는 좋다고 하는 것만을 바라는가?
3-  의무를 다하는 것만으로 충분한가?
4-  무엇을 비인간적인 행위라고 하는가?
5-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것에도 가치가 존재하는가?
6-  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 지를 말해 주는가?
7-  우리는 정념을 찬양할 수 있는가?
8-  종교적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9-  정열은 우리의 의무 이행을 방해하는가?
10-진실에 저항할 수 있는가?
11-진리가 우리 마음을 불편하게 할 때 진리 대신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 환상을 좇아도 좋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