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가 먼저 떠오른다. 오랜기간 동안 책을 멀리했다. 그러니 우선 활자가 눈에 안들어 오고 물론 생물학적으로도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니 눈이 오래 머물지 못하고 쉬 책을 덮는다. 즐거움중 하나인 책을 손에서 오래 놓았다는 아쉬움도 있고
"AI 에서는 오늘 쓰는 인공지능이 가장 뒤떨어진 인공지능이다"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원래 "환각"이라는 뜻인데, LLM 같은 인공지능이 사실이 아닌 내용을 그럴듯하게 만들어내는 현상 -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논문이나 URL을 인용. 잘못된 수치나 연도를 자신있게 말함. "김치의 원산지는 일본이다" 같은 사실과 다른 내용을 단정적으로 설명.
원래 "환각"이라는 뜻인데, LLM 같은 인공지능이 사실이 아닌 내용을 그럴듯하게 만들어내는 현상 -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논문이나 URL을 인용. 잘못된 수치나 연도를 자신있게 말함. "김치의 원산지는 일본이다" 같은 사실과 다른 내용을 단정적으로 설명.
감시자본주의 시대 - 조지오웰의 탐구주제를 확장한 개념으로 거대 기업들이 당과 빅 브라더를 '감각적이고 네트워크화된 컴퓨터 인프라로 대체한 빅 아더(other)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용이 무료라면 당신이 상품인 것이다" 라는 진부한 표현은 잊어라 당신은 상품이 아니라 유기된 코끼리의 사채일 뿐이다. ' 상품'은 당신의 삶에서 뜯어낸 잉여로부터 나온다.
AI가 정신적 질환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생성성 AI와 머쉰런닝 AI의 차이점확률 계산 중심(통계) → 신경망 활용(머신러닝/딥러닝) → 초거대 언어 모델(LLM)
일반적인 데이터량에선 하나의 특이점으로 발견된 데이터가 무수히 많은 데이터속에선 하나의 특징으로 분류될 수가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윈인을 파악할 수 있는 통계적 유효성을 갖는다. 이런걸 하는게 AI가 하는 일중 하나 아닌겠는가.
통계 시대 → 머신러닝/딥러닝 시대 → LLM 시대 → AGI